스마트폰이 일상화된 현대 사회에서 가장 불편하게 느껴지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스팸전화입니다. 일상적인 대화나 중요한 업무 중에도 갑작스럽게 걸려오는 광고 전화나 보이스피싱 시도는 생활의 흐름을 끊고 불쾌감을 주곤 합니다. 특히 개인정보 유출과 맞물려 불특정 다수에게 발송되는 스팸전화는 누구나 겪을 수 있는 문제입니다.

이러한 스팸전화는 단순히 귀찮음에 그치지 않고, 금융 사기나 개인정보 탈취 같은 심각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보이스피싱 피해 사례가 증가하면서 스팸전화 차단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보다 안전한 통신 환경을 위해 효과적인 차단 방법을 알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행히도 현재는 통신사 서비스, 정부 제도, 스마트폰 자체 기능, 그리고 다양한 앱을 통해 스팸전화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여러 방법을 병행해 활용하면 스팸전화의 횟수를 눈에 띄게 줄일 수 있으며, 개인의 안전과 편리한 일상을 동시에 지킬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 구체적인 스팸전화 차단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스팸전화 차단방법 두낫콜, 통신사 서비스, 앱 활용법
1. 스팸전화 차단방법: 통신사 제공 ‘안심번호 제공 거부’ 서비스 이용하기
SKT, KT, LG U+ 등 주요 통신사에서는 여론조사나 마케팅 전화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안심번호 제공 거부’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SKT 고객은 1547번에 전화하시고 안내에 따라 서비스를 설정하시면 됩니다.
• KT 고객은 080-999-1390번으로 전화하시고 안내에 따라 설정하시면 됩니다.
• LG U+ 고객은 080-855-0016번에 전화하시고, 음성 안내에 따라 1번을 눌러 신청하시면 됩니다.
일반 전화 및 MVNO(알뜰폰) 고객도 해당 번호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은 ‘050’ 가상번호를 통해 걸려오는 마케팅 전화의 수신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습니다. 실 번호에는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추가적인 차단 도구와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두낫콜(Do Not Call)’ 시스템 활용하기
‘두낫콜’은 판매 목적 전화권유 수신 거부와 금융권 영업 목적 수신 거부 두 가지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습니다.
• 웹에서 ‘두낫콜’ 시스템에 접속한 후, 수신 거부 등록 절차를 완료하시면 해당 업종의 전화 수신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 금융권 두낫콜은 카카오톡, 문자 등 다양한 채널에도 적용되며, 등록 후 최대 2주에서 30일까지 반영 시간이 필요합니다. 유효 기간은 약 5년입니다.

3. 스팸전화 차단방법 : 카카오톡을 통한 스팸 전화 차단 (다소 간편)
카카오톡 앱 내의 카카오페이 설정을 통해 정부의 ‘Do Not Call’ 시스템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 카카오톡 → ‘더보기’ → ‘Pay’ → ‘광고 전화 차단하기’ 메뉴로 이동한 후 ‘동의 및 시작’ 버튼을 누르시면 완료됩니다.
이 작업만으로 스팸 전화가 크게 줄었다는 사용자 경험이 있습니다. 웹사이트로 직접 등록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간편히 접근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4. 통신사 및 스마트폰 자체의 스팸 차단 기능 활용하기
통신사별 앱 활용
• SKT: T전화 앱 설치하여 AI 기반 필터링, 발신번호 식별, 등급별 차단 설정 가능
• KT: KT 스팸차단 앱 설치하여 빅데이터 기반 감지, 커뮤니티 신고, 시간대별 차단 가능
• LG U+: U+ 스팸차단 앱 설치하여 실시간 번호 검증, AI 학습, 발신지 기반 필터링 가능
스마트폰 자체 기능
• 안드로이드: 전화 앱 → 설정 → ‘스팸 및 자동 통화 필터’ 또는 ‘발신자 및 스팸 식별’ 기능 활성화
• 아이폰: 설정 → 전화 → ‘알 수 없는 발신자 음소거’ 기능 활성화
이 외에도 최신 Android는 Google Phone 앱에서 ‘Caller ID & spam’ 기능을 통해 의심 전화 자동 음성사서함 전송, Samsung의 경우 Smart Call 기능으로 차단 또는 표시 기능 제공

5. 스팸전화 차단방법: 제3자 앱 활용하여 스팸 전화 식별 및 차단
• 후후, Whoscall, WhoWho 등 앱을 사용하면 전화가 오기 전에 스팸 여부를 알 수 있고, 특정 스팸 번호를 자동 차단하거나 데이터베이스 기반으로 경고를 표시받을 수 있습니다.
6. 다중 조합으로 효과 극대화
각 방법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아래 방법들을 동시에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통신사 ‘안심번호 제공 거부’ + ‘두낫콜’ 등록
• 카카오톡을 통한 차단 절차 수행
• 통신사 앱과 폰 자체 스팸 차단 기능 활성화
• 후후 등 서드파티 앱 활용

스팸전화 차단방법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두낫콜’과 통신사 서비스 중 어떤 것을 먼저 이용해야 하나요?
둘 다 병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통신사 서비스는 즉각적인 번호 기반 차단을, 두낫콜은 업종별 마케팅 전화 방지를 도와줍니다.
Q2. 스팸 전화가 여전히 오면 어떻게 하나요?
카카오톡을 통한 시스템 등록과 통신사·폰 내부의 차단 기능, 그리고 후후 같은 앱을 함께 활용해 복합적인 차단 체계를 구성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Q3. 등록 후 차단이 바로 적용되나요?
통신사 ‘안심번호 제공 거부’나 카카오톡 등록은 즉시 또는 단기간 내 효과가 있으나, ‘두낫콜’은 시스템 반영까지 2주에서 최대 30일이 걸릴 수 있습니다.  
Q4. 후후나 Whoscall은 무료인가요?
기본 기능은 무료로 제공되지만, 일부 고급 기능은 유료일 수 있습니다. 앱별 안내를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Q5. 알뜰폰(MVNO) 사용자도 이 방법을 쓸 수 있나요?
통신사 번호 제공 거부와 두낫콜, 카카오톡, 서드파티 앱 모두 알뜰폰에서도 대부분 적용 가능합니다.

결론
스팸 전화는 일상의 스트레스를 높입니다. 위에 정리된 최신 실전 차단 방법들을 순서대로 적용해 보시면, 원치 않는 광고나 보이스피싱 전화를 상당히 줄일 수 있으실 것입니다. 소중한 시간을 지키시고 안전한 통신 환경을 구축하시기를 바랍니다.